■ 진행 : 강진원 앵커 <br />■ 출연 : 한문도 / 연세대 금융부동산학과 겸임교수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각종 부동산 심리 지표가 일제히 하락하는 가운데, 집값 추이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. 거래절벽 속 일시적 현상인지, 여야 대선 후보들의 관련 공약과 함께 대선 이후 부동산 분위기 어떻게 바뀔지 전문가와 함께 전망해보겠습니다. 연세대 정경대학원 금융부동산학과 한문도 겸임교수, 나오셨습니다. 교수님, 안녕하세요? <br /> <br />일단 부동산 시장 전반적인 현황부터 살펴봐야 될 것 같은데 제가 눈에 띈 지표가 있었어요. 관련된 그래픽이 있는데 그래픽을 먼저 띄워주시겠습니까? 저희가 부동산원 매주 단위로 전국 주택가격 동향 조사가 나오잖아요. 그래서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같은 건 저희가 자주 전해 드린 것 같은데 실거래가격지수가 눈에 띕니다. 지금 보시는 것처럼 서울 아파트 매매 실거래가격지수가 2개월 연속 하락했는데 이 실거래가격지수라는 건 어떤 의미가 있다고 봐야 되는 겁니까? <br /> <br />[한문도] <br />이게 기준이 2006년도 집값이 많이 오를 때 시절이죠. 노무현 정부 때. 그때 수치를 2006년 10월 정도의 지수를 100으로 잡고 그 기준 100을 통해서 2회 이상 주택이 거리가 됐을 때, 그러니까 반복 매매 모형이라 그러죠. 선진국에서 쓰는 형태인데요. 반복 매매모형으로 아파트가 주로 1, 2층 그리고 중간층, 최상층 이렇게 동일 그룹으로 구분됩니다. <br /> <br />그 그룹에서 2회 이상 연속 거래가 됐을 때 그 가격을 지사화해서 수치로 나타난 게 실거래가격지수입니다. 그 지수가 2006년도 100을 기준으로 해서 지금 말씀 주신 2개월 연속 하락하는 형태가 오랜만에 나왔거든요. 이 지수가 10년, 12년 만에 최대 하락 폭입니다. 그래서 기억하시겠지만 2008년도하고 2012년도 이때가 가격이 하락할 때입니다. <br /> <br />그때 지수 하락폭보다 큽니다. 그래서 오랜만에 나타나서 시장의 변동성이 확장됐다는 걸 우리가 알 수 있는데요. 서울, 수도권 전국적으로 0.91%가 하락을 했습니다. 177이라는 수치가 나왔는데 수도권하고 서울이 좀 더 강합니다, 폭이. 서울, 수도권의 시장 변화 움직임이 더 포착됐다는 것을 우리가 반영하는데요. 이 부분에서 특히 서북권이 -3.91을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래서 은평구를 비롯해서 서북권의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20217114504108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